DCM과 그레인프리 사료, 진짜 위험할까? FDA 발표와 사료 고르는 법

DCM과 그레인프리 관련 글입니다.

사람들마다 의견도 엇갈리고 간혹 수의사들도 이상한 정보를 퍼뜨리던데 제가 팩트만 알려드립니다.

 

일단 인과관계랑 상관관계 정의부터 하겠습니다. 수의사들도 간혹 헷갈려 합니다. (사실 헷갈리기보다는 '귀찮아서' 인 경우가 많을거에요. 장사가 좀 되는 병원의 수의사들은 사료 상담을 하면 사실 싫어합니다. 돈이 안되니까요 ㅠ)


- 인과관계: A가 원인이 되어 B가 발생한 걸 말합니다. A를 하면 B의 결과가 나오는거죠.


- 상관관계: A와 B가 함께 발생한 걸 말합니다. 그런데 A 때문에 B가 발생했다고 하면 안되는 겁니다. 종합병원에서 사망한 사람들이 모두 환자복을 입고 있었다고 해서, "환자복을 입으면 사망 확률이 크게 올라간다" 라고 결론 내리면 안되는거죠.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시죠? 그런데 생각보다 많은 기사와 찌라시, 그리고 소위 비전문가들은 상관관계를 인과관계가 있는척 떠들고 다닙니다. 무슨 심리인지 모르겠어요. 심지어 전문 라이센스를 가진 사람들도 헷갈려 하는걸 간혹 보게 됩니다. (계속 강조하지만 의사는 신이 아닙니다. 모르는 게 더 많습니다. 오히려 특정 분야에 관심 많은 보호자가 더 많이 알 수도 있습니다. AI 기술의 덕분이지요)

 

유튜브에서 미국 수의사가 그러더군요. '그레인프리 사료랑 DCM이랑 상관관계는 있는거 같다' 그런데 그 이후 그레인프리 사료가 원인인 것처럼 퍼져 나갔습니다. 그냥 환자복 입고 사망한 것처럼 상관관계일 뿐인데,  일부 수의사들은 심장병 우려해서 곡물 사료를 추천하기도 했었습니다. 물론 곡물 사료 먹고 개선되는 경우도 있겠죠. 어떤 수의사들은 그런 논문이 있다~ 라고 하길래 한바탕 혼찌검을 내주고 싶었지만 참았습니다. 병이라는건 자연적으로 개선이 되는 경우도 있는 겁니다. 참... 자격 없는 수의사들도 있습니다. 안타깝습니다. (이건 어느 분야나 똑같이 적용됩니다. 의료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혹 수의사들 이글 보시고 흥분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당연한 얘기니까요)

 


그냥 FDA 최종 발표를, 머리로 소화하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1. DCM 원인 정확하게 모릅니다. (안다고 우기는 사람은 그냥 바보거나 사기꾼인 겁니다)
2. 곡물이 부족한 것이 원인은 아닌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3. 인과관계 입증 불가하고, 과학적 근거가 나오기 전까지 공식입장은 없다라고 얘기했습니다.
4. 그레인프리에 콩 함량이 매우 높은 사료는 주의가 필요하다고 얘기했습니다. 근데 이건 DCM을 떠나서 콩 범벅 사료는 무조건 피하는 것이 맞는 겁니다. DCM에 국한된 얘기가 아닙니다. 콩 함량이 너무 많은 사료는 피하세요.


현재 먹이는 사료 불안하면 동물성 원료 함량 높고, 콩 너무 많이 포함 안된 사료 먹이시면 됩니다. 부가적으로 사료의 타우린 함량을 확인하셔도 좋구요. 일부 수의사들도 무조건 곡물 들어간 사료 추천하진 말아주세요. 제대로 공부하고 연구해서 자신이 생겼을 때 곡물 들어간 사료를 추천해주세요. 그건 뭐라고 안하겠습니다. (근데 제 주변에 그런 수의사는 아직 못봤습니다)

 

그리고 곡물 들어간 사료에서도 DCM은 발생했습니다. DCM 불안하니 곡물 사료 먹이라는 수의사들은 이 건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할 건지 궁금하네요. 제발 수의사들 공부 좀 합시다.